안녕하세요 :)

저번에 생성한 web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user 테이블을 생성했자나요?

velys-log.tistory.com/9?category=1051296

모른다면 이걸 참고해주세요 ㅎㅎ

 

그걸 가지고 회원가입 기능을 만들껀데요? 정말 간단하게 만들어보기를 할꺼에요. 기능 구현이 목적이라 이쁨따윈 없답니다. ㅎ.ㅎ

<?php
session_start();
if(isset($_POST['submit'])){
    $host = "localhost";
    $username = "web";
    $password = "web";
    $db = "web";

    $conn = new mysqli($host, $username, $password, $db);
    $result = $conn->query("insert into user values ('$_POST[id]', '$_POST[pw]');");
    $conn->close();

    if($result == false){
        echo "오류";
    }if(isset($_SESSION['id'])){
        echo " 로그인 중입니다."
        ?>
        <button type="button" 
        onclick="location.href='./main.php';"
        >홈으로</button>
        <button type="button" 
        onclick="location.href='./logout.php';"
        >로그아웃</button>
    <?php
    }
    else{
        echo "회원가입 성공";
        ?>
<button type="button" 
onclick="location.href='./login.php';"
>로그인 하러가기</button>
        <?php
    }
}else{
?>
<form action="./join.php" method="POST"> 
    id: <input  name="id">
    password: <input  name="pw">

    <input type="submit" name="submit">
</form>
<?php
}
?>

음 라인 넘버가 안나와서 좀 불편하지만 간단하게 설명 드릴께요 ㅎㅎ

지금 당장 session_start() 는 무시해도 됩니다.

왜냐면 제가 로그인을 session으로 할려고 넣은거거든요 나중에 설명 드릴께요. 

 

$host ~ $conn 이 범위의 코드가 만든 데이터베이스랑 연결을 해주는 거에요. 저기 쿼리에 "insert~" 보이죠? 저게 삽입하겠다는 명령어 입니다.

 

쿼리문이랑 데이터베이스 이름 이외에는 똑같이 적으면 연결이 될꺼에요 이제 select를 할거인지 명령어에 따라서 행위가 달라지겠죠?

 

그리고 "로그인중입니다"의 함수부분도 지금 당장에는 무시하구요 

 

$result == false -> 쿼리가 오류가 나면 "오류"를 줄력하고 아니면 밑에 esle 문으로 넘어가서 "회원가입 성공"을 출력하고 '로그인하러가기' 버튼을 생성합니다

 

그리고 밑에 <form>~</form> 은 맨처음에 회원가입 양식을 보여주는거에요 그리고 여기서 'submit'으로 제출하게 되면 맨 위에 if문이 참이 되서 db에 삽입 및 저장이 되는거랍니다. 

 

 

결과 사진

<form>~</form>이에요

들어가자마자 이렇게 웹 페이지가 보여요. 

 

잘 되죠? 근데 아직 되기만하고 예외상황 같은거는 나중에 추가를 해줘야겠네요 ㅎㅎ 

 

저장이 잘 되엇는지는 직접 DB를 조회해서 확인해봐도 되고 select문으로 조회한것을 웹페이지에 출력하게할 수 도있어요. 이건 다음에 해볼께요 ㅎ.ㅎ 

 

그럼 화이팅!

뭔가 다운 받는 과정에서 이렇게 에러 메세지가 뜨더라구요 이거는 

이렇게 업그레이드를 시켜주면 해결할 수 있어요 ㅎㅎ

저렇게 업그레이드 하고나니까 install 잘되죠?ㅎㅎ

이건 툴이 없어서 그런건데요 툴만 설치해주면 해결할 수 있어요 ㅎㅅㅎ

이렇게 설치해주고 나서 ctrl+Shift+c 또는 +v 해주면 아주 잘된답니다 ㅎㅅㅎ

apt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에서 이렇게 53번 에러가 났어요 ㅠ

이럴땐 

이렇게 해주면 53 에러를 해결할 수 있답니다 ㅎㅅㅎ

아주 잘되죠?ㅋ.ㅋ.ㅋ.ㅋ

명령어 이렇게 치면 다운 완료 되여 

 

근데 혹시 에러가 낫다면 

 

이렇게 하고 다시 시도하면 됩니다!

cat /ect/issue

이렇게 치면 버전 확인할 수 있어요 ㅎㅅㅎ

안녕하세요? 

서버랑 정말 VScode에 설치한 것들이랑 소스코드가 전부 날라가서 새로운 시작을해요^__ㅜ;;

백업과 커밋을 생활화 중요성을 느꼈답니다...ㅎㅎ

 

정말 유용한 정보를 가져왔어요 속성으로 모든걸 할 수 있어요 ㅎㅎ

1. 설치 및 계정 생성

일단 vscode를 키고 터미널을 열어줄께요. 터미널 열줄 모르신다면 "ctrl+~" 을 누르면 자동으로 열린답니다.

 

munsiwoo.kr/mariadb.txt<- 여기 들어가시면 복붙 할 수 있어요 :)

똑똑한 제 친구가 만들었답니다 ㅎㅎ 공유 허락 받았어요!

보시면 제가 사용한 건 

이부분이에요 차례대로 그냥 입력해주면 되는데 설치하고 계정을 생성하는 과정이에요.

저는 admin password 했는데 다른걸로 맘대로 바꾸셔도 무관합니다. :)

 

이렇게하고 캡쳐를 안하고 꺼버려서 결과를 못 보여드리네요 ㅎㅎ 하지만 믿고 해보셔도 대요 저도 이렇게 했거든요.

아 다음글에서 보여드릴께요 어차피 해야되니까 ㅎㅎㅎ

p.s. install 하고 mysql 치고 나서 저 create, grant, flush 하는거에요!

 

2. 서버랑 DB 연결하기

 

일단 그냥 간단하게 버전을 확인해 보는 정도인데요. 이렇게 하면 아래처럼 결과가 나오는걸 확인할 수 있어요 ㅎㅅㅎ

p.s. 혹시 그냥 vscode에다가만 하시면 안되구여 저처럼 서버를 돈주고사서 환경셋팅을 모두 해놓으신 이후에 이렇게 해야되요. 근데 꼭 서버를 돈주고 사지 않고 로컬에서 하는 방법도 있고 다른방법도 많을테니까 한번 찾아보세요 ㅎㅎㅎ

 

그리고 데이터를 입력받고 db에 저장하고 또 그걸 출력해서 화면에 보여주기 이런것들은 차차 또 올릴께요 :)

그럼 다음에 봐여! 

혼자서 웹페이지 구현을 해볼려고 하는데요.

먼저 로그인이랑 회원가입 기능구현을 위해 id, pw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꺼에요! 

Visual Studio Code를 설치했고 여기에 Maria DB를 사용했어요.

 

생성 시작.

mysql 을 쳐서 시작해줄께요 

 

create database web; -> web 이라는 이름의 database를 생성 한거에요. ;은 필수입니다.

show databases; ->로 web이 생성된 것을 확인했어요.

use web; -> web database를 사용하겠다는거에요. 이 명령어를 쓰고나서 [(none)] -> [web] 으로 변경된거 보이시죠?

create table user(id char(10), pw char(15)); -> 이건 테이블 생성이에요. 문법같은건데 user라는 이름의 테이블을 생성하는데, id는 크기를 char타입 10으로 pw는 15로 지정해주는거에요. 

desc user; -> user 테이블 확인!

exit; -> 데이터베이스 종료!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