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?
서버랑 정말 VScode에 설치한 것들이랑 소스코드가 전부 날라가서 새로운 시작을해요^__ㅜ;;
백업과 커밋을 생활화 중요성을 느꼈답니다...ㅎㅎ
정말 유용한 정보를 가져왔어요 속성으로 모든걸 할 수 있어요 ㅎㅎ
1. 설치 및 계정 생성
일단 vscode를 키고 터미널을 열어줄께요. 터미널 열줄 모르신다면 "ctrl+~" 을 누르면 자동으로 열린답니다.
munsiwoo.kr/mariadb.txt<- 여기 들어가시면 복붙 할 수 있어요 :)
똑똑한 제 친구가 만들었답니다 ㅎㅎ 공유 허락 받았어요!
보시면 제가 사용한 건
이부분이에요 차례대로 그냥 입력해주면 되는데 설치하고 계정을 생성하는 과정이에요.
저는 admin password 했는데 다른걸로 맘대로 바꾸셔도 무관합니다. :)
이렇게하고 캡쳐를 안하고 꺼버려서 결과를 못 보여드리네요 ㅎㅎ 하지만 믿고 해보셔도 대요 저도 이렇게 했거든요.
아 다음글에서 보여드릴께요 어차피 해야되니까 ㅎㅎㅎ
p.s. install 하고 mysql 치고 나서 저 create, grant, flush 하는거에요!
2. 서버랑 DB 연결하기
일단 그냥 간단하게 버전을 확인해 보는 정도인데요. 이렇게 하면 아래처럼 결과가 나오는걸 확인할 수 있어요 ㅎㅅㅎ
p.s. 혹시 그냥 vscode에다가만 하시면 안되구여 저처럼 서버를 돈주고사서 환경셋팅을 모두 해놓으신 이후에 이렇게 해야되요. 근데 꼭 서버를 돈주고 사지 않고 로컬에서 하는 방법도 있고 다른방법도 많을테니까 한번 찾아보세요 ㅎㅎㅎ
그리고 데이터를 입력받고 db에 저장하고 또 그걸 출력해서 화면에 보여주기 이런것들은 차차 또 올릴께요 :)
그럼 다음에 봐여!
'Log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buntu] 우분투 도커 다운받기, 도커 에러 (0) | 2020.11.08 |
---|---|
[Ubuntu] 우분투 버전 확인하기 (0) | 2020.11.07 |
아이디, 패스워드 Database 생성하기 (0) | 2020.08.14 |
ETH,IP,TCP 헤더 구조 (0) | 2019.05.20 |
[ C ] pcap으로 패킷 캡쳐하기 (0) | 2019.05.20 |